본문 바로가기

::♡단월드, 성공과 완성::/단월드 건강

[단월드 정신건강] 멘탈헬스시대 정신건강 내가 만든다

728x90
[단월드 정신건강] 멘타헬스 시대 정신겅강 내가 만든다:: ♡단월드 명상쉼터♡

[단월드 정신건강] 멘탈헬스시대 정신건강 내가 만든다

 

 

 

 

지난해 사람들의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린 말 중의 하나는 ‘멘붕’이다.

‘멘탈 붕괴’를 줄인 이 말은 정신이 무너질 정도로 충격을 받은 상태를 의미하며,

 우리 사회의 정신건강 문제를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의 경제력과 1인당 국민소득 2만 불을 자랑하는

세계가 부러워하는 나라가 되었지만, 속으로는 정신적인 문제를 심각하게 앓고 있다.

 

우리나라는 OECD가 지난해 발표했던 ‘삶의 질 지수’에서

 36개국 가운데 34위를 기록했고, 유엔이 발표한 세계행복보고서에서도

 우리나라 행복지수는 150개 조사대상국 가운데 56위에 그쳤다

.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이혼율과 자살률 1위이고,

 청소년 자살률도 세계 1위이며, 청소년 4명 중 1명이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고 한다.

 게다가 노인 빈곤율과 노인자살률도 OECD 국가 중 1위이다.

 

지난 11월 우리나라를 방문한 수잔 오코너 OECD 정신보건 자문관도

‘한국에는 높은 자살률과 알코올 문제, 도박 중독, 인터넷 중독, 학교 폭력 등

 높은 수준의 정신적 고통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많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심각한 멘탈헬스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개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대책, 사회적 차원에서의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

 

 

 

멘탈헬스란 무엇인가?

 

멘탈헬스는 단지 정신적인 질병이 없는 상태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멘탈헬스는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고, 일을 생산적이고 결과가 나오게 할 수 있고,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이바지할 수 있는 행복하고 안녕한 상태를 말한다.

 

우리나라 고유의 말에서 정신은 ‘얼’이라고 한다.

 얼을 표현하는 말 중에서 가장 익숙한 말이 ‘얼굴’이다.

얼굴에는 얼이 들락날락하는 구멍(눈, 귀, 코, 입)이 많아서 얼굴이라고 했다.

정신을 잃고 못 차리면 ‘얼빠졌다’고 하고, 그런 사람을 ‘얼간이’라고 한다.

 

얼이 작은 사람을 ‘어린이’라 하고 얼이 성장하여 큰 사람을 ‘어른’이라 하고

얼이 신의 경지에 이른 사람을 ‘어르신’이라고 한다. 어른이나 어르신은

 육체적인 나이가 아니라 정신적인 나이, 의식의 수준을 가리키는 말이다.

나이를 먹는다고 늙은이, 노인, 노인장이라는 말을 들을 수는 있으나

, 어른, 어르신이 되는 것이 아니니, 얼을 중심 삼고 얼을 키우며 살아야 한다는

 우리 선조의 인생관과 지혜가 담겨있다.

 

멘탈이 건강해야 좋은 사람이다. 좋은 사람은 좋은 생각, 좋은 말,

좋은 행동을 하고, 좋은 정보를 만들어 내는 사람이고, 주위에 이로움을 주는 사람이다.

이에 반해 자신의 이익만을 알고, 자기만을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는 사람은 나뿐인 사람,

 나쁜 사람이다. 멘탈헬스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은 얼을 찾는 것이다.

 

 

 

 

멘탈헬스를 위한 뇌교육

 

멘탈헬스는 뇌의 문제다. 사람의 가치는 뇌에 있는 정보의 질과 양에 따라 결정된다.

뇌에 나쁜 정보가 많고, 뇌가 부정적인 정보를 계속 만들어 내면 인간성은 상실된다.

 현대사회의 가장 심각한 멘탈헬스 문제는 우울증이다. 세계보건기구는 2030년에는

우울증이 에이즈에 이어 세계 2대 질병이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선진국일수록 멘탈헬스의 문제는 심각하며, 우리나라는 5백만 명 이상이

 우울증과 정신질환을 경험했다.

 

사람은 누구나 지나친 욕심과 근심과 걱정으로 과도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고

우울해지면 사는 재미를 잃게 된다. 자신을 신뢰하고 존중하지 않고 현실을

 비관하고 절망해 버리면 그 문제는 누구도 해결할 수 없다. 이렇듯 멘탈헬스는

 행복과 직결된다. 행복하려면 자기존중심과 양심을 먼저 회복해야 한다.

 

이미 뇌과학적 연구에서 밝힌 대로 인간의 행복은 뇌의 호르몬에 달려있다.

 뇌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행불행이 결정되고, 멘탈헬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21세기에 뇌는 더 이상 뇌과학자나 의학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뇌활용은 뇌를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아야 할 상식이 되었다.

 

자신의 뇌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자신의 뇌로 어떻게 건강과 행복과 평화를 창조할 것인가?

 그 답은 ‘자신의 뇌를 되찾아라!(Take back your brain!)'이다. 자신의 존재가치는 모르고,

부, 권력, 명예, 이데올로기 등 상대적인 가치에 빠져서 살고 있다면,

자신의 뇌를 다시 찾아와야 한다. 주위의 평판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증에 빠진 사람이 있다면, 그 평판에 빠진 자신의 뇌를 되찾아 스스로

 자존심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

 

멘탈헬스를 회복한 사람은 정직, 성실, 책임감 있는 사람이다.

 제주도에 가면 옛날 탐라국 때부터 전래한 고유한 정신으로 ‘삼무정신’이 있는데,

도둑, 거지, 대문이 없다는 것이다. 도둑이 없다는 것은 정직하다는 것이고,

 거지가 없다는 것은 성실하다는 것이고, 문이 없어도 될 만큼 책임감이 강하다는 것이다.

정직, 성실, 책임감은 자신을 존중한다는 의미이고, 양심이 살아있다는 표현이다.

 탐라국의 삼무정신에서 멘탈헬스 사회의 원형을 발견할 수 있다.

 

사람이라면 당연히 자신을 존중해야 하듯이, 국민이라면 당연히 애국심을 가져야 한다.

사람의 정체성은 인간성, 양심에 있고, 국민의 정체성은 애국심에 있다.

만약 종교적 신념이나 지나친 이데올로기에 빠져서 그 신념을 우선시하여

 애국심이 사라졌다면 얼빠진 국민이다. 국민의 얼을 회복하는 것,

 국민의 뇌를 다시 찾기 위해서는 애국심을 회복해야 하며, 이것이 바로

국민의 멘탈헬스 회복이다.

 

그리고 사람에게는 연령대에 맞는 멘탈헬스의 목표가 있다.

 유·소년기의 멘탈헬스는 혼이 살아나고 예절이 바른 사람이 되는 것이고,

청·장년기의 멘탈헬스는 꿈과 비전과 열정을 가지고 정직, 성실,

 책임감 있는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이고, 노년기의 멘탈헬스는 젊은 시절의

 성공보다는 인생의 완성을 추구하며 주위에 도움을 주는 어르신이 되는 것이다.

 

멘탈헬스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뇌를 잘 활용해야 한다.

뇌를 잘 활용하는 교육이 뇌교육이다. 뇌를 잘 활용하기 위한

BOS(Brain Operating System)의 세 가지 법칙이 있다. 첫째, 얼을 찾아야 한다.

정신을 차려야 한다. 둘째, 선택하면 이루어진다. 좋은 뜻, 좋은 꿈, 좋은 비전을 선택해야 한다. 셋째, 좋은 정보를 생산해 좋은 뇌를 만들어야 한다. 좋은 정보, 긍정적인 정보를 생산하면 좋은 뇌를 가진 좋은 사람이 된다.

 

멘탈헬스를 회복하는 과정은 뇌교육 5단계-뇌감각깨우기, 뇌유연화하기, 뇌정화하기, 뇌통합하기, 뇌주인되기-의 과정을 거친다. 먼저 뇌의 감각이 깨어나고 유연해져야 뇌에 있는 부정적인 정보를 정화할 수 있다. 부정적인 정보 가운데서도 특히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뇌에서 부정적인 정보가 정화되면 뇌가 영점을 회복하고 제로상태가 된다.

 

뇌가 균형을 회복한 제로상태가 될 때 새로운 꿈과 비전으로 뇌가 통합될 수 있다. 그런 다음에 뇌의 진정한 주인으로, 인생의 주인으로 살아갈 수 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뇌교육을 통하여 멘탈헬스를 회복할 수 있지만, 멘탈헬스를 지속하고 증진하는 사회적 차원, 정부 차원의 노력과 시스템의 마련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