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월드, 성공과 완성::/::♡단월드 성공과 완성을위한 좋은글::

얕보면 큰코 다치는 '새대가리'의 뇌비밀

728x90

 동물은 각각 고유의 지능을 가지고 그들이 처한 환경과 생활에 적응하도록 진화해 왔습니다. 그러나 사람은 자신들을 위해 고안한 검사로 동물의 지능을 측정하고, 그 결과만으로 동물을 사람의 두뇌에 비해 한참 떨어지는 수준으로 낙인찍어왔습니다. 만약 각각의 동물이 중요하게 여기는 것을 기준으로 지능 검사를 받는다면 그 결과는 인간을 능가하는 수준일 것입니다.

 

 머리 나쁜 사람을 조롱할 때 자주 등장하는 새들의 지능 또한 그들의 생존 역사와 함께 진화해왔습니다. 낮은 지능을 가진 이를 비아냥거리며 속되게 표현할 때 ‘새대가리’라고들 하는데, 정작 새들도 알고 보면 새로 살아가는 데 있어서는 대단히 지적인 존재입니다. 완전한 새가 되기 위해 작은 머리를 요리조리 쓰는 지성파 새들, 그들의 똑똑한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단월드

 

 


날아라 새들아 ~ ‘새대가리’를 넘어, 새 뇌를 향해!

 

 캘리포니아 대학의 동물행동학자 피터 말러Peter Marler는 조류와 유인원 간에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많다는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새들은 작은 뇌에도 불구하고 유인원 정도의 의식 수준에 견줄 만한 행동을 할 수 있다고 합니다다. 새의 뇌는 포유류에서 발달된 신피질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지능이 신피질과는 다른 구피질의 조직적인 성장으로 생겨났습니다. 이런 근거로 조류 뇌 전문가들은 원시적으로 표현했던 새의 뇌 각 부분을 인간의 대뇌피질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의 의미를 담고 있는 용어로 발표했습니다. 이렇게 뇌를 쓰는 새들의 지능은 기억력이나 물체의 영속성, 도구를 이용하는 재기 발랄한 모습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단월드

 북아메리카 잣까마귀는 늦여름부터 겨울을 대비하기 위해 흰나무껍질소나무 씨앗 3만 5,000개를 파묻고, 봄이 오면 씨앗이 묻힌 장소를 대부분 찾아낸다고 합니다. 또한 꿀잡이새는 100제곱마일 내의 모든 벌집을 다 기억해낸다고 합니다. 먹이를 파묻어서 저장하는 새들은 상당한 수준의 기억력뿐만 아니라 물체의 영속성, 즉 어떤 물체가 보이지 않더라도 계속적으로 존재하고 있음을 알아채는 능력도 가지고 있습니다. 한 실험에서 갓 태어난 병아리에게 한쪽 막 뒤에는 익숙한 물체가 놓여 있고 또 다른 막 뒤에는 아무것도 없는 두 개의 막을 보여주었습니다. 그리고 3분 정도 지난 후  다시 두 개의 막 앞에 데려다놓자, 병아리는 익숙한 물체가 놓여 있는 막으로 찾아갔습니다. 이것은 어미와 같은 특정 존재에 붙어다님으로써 길을 잃지 않고 자연 생태계에서 먹잇감이 되지 않으려는 병아리의 생존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사람의 아기는 병아리보다 한참 늦은 여덟 달 정도가 되어야 걸음마를 시작하고 영속성이 나타나게 됩니다. 그전까지 아기에게 물체의 영속성은 별로 이득이 될 게 없기 때문입니다.

 

 

 

무시당하는 서러움을 무시할 수 있는 새의 세계

 

 새 중에서도 사람에게 가장 무시당하는 새는 갈루스 갈루스Galus galus라는 학명의 ‘집닭’입니다. 졸고 있을 때는 거의 무뇌 취급까지 받는 닭, 하지만 이들은 25~30종류나 되는 자신들만의 신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닭은 누군가를 속이는, 소위 ‘잔머리’라는 것도 쓸 줄 안다고 합니다. 수컷은 보통 먹이로 암컷의 환심을 사고 짝짓기를 합니다. 자기 혼자 먹어버릴 수 있는 작은 먹이를 암컷에게 주고 잘 보일 수 있는 기회를 잡는 것입니다. 그러나 수컷이 항상 정직한 방법으로 암컷을 유혹하는 것은 아닙니다. 좋은 먹이가 없는데도 암컷에게 먹이가 있다는 신호를 보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너무 남용하면 사기꾼으로 몰려 암컷들이 피해버릴 수 있기 때문에 수컷은 이 속임수를 적절한 타이밍에만 사용하는 센스를 발휘한다고 합니다.

 

 한때는 평화의 상징으로 하늘 높이 날아올랐으나 어느 순간 도심의 청소부’로 사람들의 홀대를 받고 있는 비둘기. 하지만 그들은 서로 다른 각도로 회전하는 물체를 인식하는 데 있어 사람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옥스퍼드 대학 연구진은 비둘기들이 이런 능력으로 자신들의 비행에 사람의 운송 경로 지식을 이용한다는 것을 밝혀냈습니다. 찻길의 교차점에서 경계 표지를 이용해 자신의 위치를 기억해내는 재치 만점의 이 새들은 낯선 지역에서는 태양 나침반 등의 정교한 방법을 이용해 비행을 한다고 합니다. 또한 많은 새들은 중력을 이용하여 먹이를 구하는 지혜를 발휘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집트 독수리는 타조 알에 돌을 떨어뜨려 내용물을 먹는다고 합니다. 갈매기도 이와 비슷한 요령으로 조개를 깨뜨리고, 까마귀 또한 같은 방법으로 딱딱한 견과류를 깨트려 먹는 등 뛰어난 지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조류의 뇌 구조는 인간의 뇌와 유사할 정도로 복잡하며 기초 신경중추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새들의 가치가 지능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는 없습니다. 그들도 인간처럼 고통을 느끼고 즐거움을 만끽하며 각자의 개성을 가지고 있는 생명체이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