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월드

하루 15분, 단월드 명상에 맡기면 뇌가 다이어트가 된다!! 직장에서, 학교에서, 가정에서 수도 없이 많은 일들과 맞닥뜨리다보면 머리속은 많은 생각들로 가득 차게 되며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오는 것을 느끼는 날들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하루 딱, 15분만 단월드에서 추천하는 '단월드 명상'으로 투자만 한다면 당신의 뇌가 다이어트가 된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머릿 속 가득찬 생각들을 훌훌 털어버리고 가볍게 상쾌하게 다시 시작해봅시다^^ 짧은 시간이지만 단월드에서 추천하는 복식호흡이나 명상은 마음을 차분하게 만들며 정서조절에 큰 효과를 가져온다고 합니다 :D 그럼 단월드에서 추천하는 '단월드 명상'으로 하루를 마무리하고 하루를 시작해 봅시다^^ 단월드 명상&호흡 [뇌로 숨쉬기] 1. 편안하게 앉아 척추를 바로 세우고 어깨에 힘을 뺀다. 2. 심호흡을 하여 몸과.. 더보기
<단월드 정보>뇌호흡과 건강관계에 대해 알아봅시다 단월드 뇌호흡과 건강관계 사람들은 '건강'하면 흔히 '병이 없는 상태'를 떠올리지만, 단순히 질병이 없는 상태를 건강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생명에 대한 매우 소극적인 이해를 반영합니다. 뇌호흡은 건강을 훨씬 더 적극적으로 정의합니다. 뇌호흡에서의 건강은 '몸이 가진 기능과 에너지를 100% 의도대로 쓸 수 잇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자신이 원하는대로 몸을 쓸 수 있기 위해서는 우리 몸의 감각이 깨어 있어야 하고, 몸의 모든 기능이 정상적이어야 하고, 몸을 움직이는 동력인 에너지가 충분해야 하고, 몸을 움직이는 주체에 대한 자각이 있어야 합니다. 뇌호흡은 뇌호흡 체조와 뇌호흡 명상을 통해 잠들어 있는 몸의 감각을 깨우고, 장기와 근육과 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단전과 경락 등 몸의 에너지시스템을 .. 더보기
[단월드 성공비결] 뇌세포를 살리는 '단월드 뇌운동' 줄어든 뇌세포 재생이 가능하다!? 우리는 나이가 들수록 뇌세포가 죽어서 머리가 나빠진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하지만 뇌의 기능들도 상당부분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것이 최근의 연구를 통해 밝혀졌습니다. 이것을 '뇌의 신경가소성'이라고 하는데 지식이나 경험이 쌓이면 새로운 신경이 성장하고 신경 연결망이 더해짐으로써 인간의 뇌가 변화하고 발달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신경세포 수가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나 뇌의 기능을 좌우하는 것은 뇌세포의 수와 무게가 아닌 뇌세포 사이의 연결고리인 '시냅스'이며, 시냅스의 수가 많을 수록 뇌기능이 좋아진다고 합니다. 열심히 운동을 하면 근육이 만들어지듯 새로운 회로가 생성되어 뇌를 젊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 뇌의 인체의 다른 장기보다 회복력이 좋.. 더보기
두드리면 꺠어난다!! 몸을 깨우는 단월드 '전신 두드리기' 한방에서 이론 중에 '불통즉통(不通卽痛)'이라고 통하지 않으면 병이 난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즉 인체의 건강원리는 '순환과 소통'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순환 속에서 자연의 질서인 수승화강(水昇火降)을 회복하는데 있습니다. 수승화강(水昇火降)은 "물은 위로, 불은 아래로"의 뜻으로 인체도 태양의 따뜻함은 땅으로 내려가고 물은 수증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가는 자연의 질서처럼 "머리는 차고, 아랫배는 따뜻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하고 있습니다. 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건강에 가장 핵심적인 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은 스트레스로 인해 목, 어깨 등 특정부위가 긴장이 되게 되면서 근육이 굳어지거나 체지방이 쌓이게 되는 추세입니다. 특정부위의 근육이 굳어지게 되면 혈액순환에도 영향을 주어 체온의 차이가.. 더보기
[단월드 기체조] 가정의 건강이 곧 사회의 건강이다!! 연령별 단월드 기체조 최근 '건강'의 개념은 질병 예방이 아니라 건강증진으로 바뀌는 추세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증진의 개념을 '사람들이 스스로의 건강을 관리하고 향상시키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과정'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스스로의 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삶의 주체자로서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하고 평화로운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혼자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 특히, 모든 일은 가정에서 비롯된다는 말이 있듯 가정의 건강과 행복은 나 자신 뿐 아니라 우리 모두가 속한 사회의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자신의 건강을 포함해서 가족의 건강을 관리하는 자세는 우리 모두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필요한 덕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족은 다양한 나이의 구성인원으로 이뤄져 연령별로 유의해야.. 더보기
벤자민학교 국제멘토 '데이브 빌'이 이야기하는 벤자민학교와 뇌교육 지난 12월 서울과 대구에서 개최된 벤자민인성영재학교 입시설명회에 특별한 멘토가 찾아왔었습니다. 미국에서 온 데이브 빌(Dave Beal) 미국뇌교육협회 및 파워브레인에듀케이션(PBE) 이사가 그 주인공이었습니다^^ 벤자민학교 국제멘토인 그는 미국에서 국제리더십코스를 밟고 있는 벤자민학교 1기 27명에게 12월 초 멘토링을 진행하고 왔습니다. 우리는 12월 14일 대구교대에서 열린 입학설명회 현장에서 빌 이사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Q : 벤자민학교에 대한 첫인상은 어떠했나? 아주 인상적이고 희망적이다. 지난 30여 년간 뇌교육이 다양한 교육 현장에서 해온 수많은 일의 결정체라 할 수 있겠다. 벤자민학교는 교육이 이뤄야 할 궁극적인 목표(인격 완성, 자기계발, 자기주도성 함양)를 수행해나가는 아주 중요한.. 더보기
2015년 '금연'을 도와주는 '금연 괴담' 직장인 김의철 씨(43세, 남)는 하루에 한 갑 이상의 담배를 피웠던 애연가지만 지난 12월 말경 독한 의지를 갖고 금연을 시작했습니다. 올해부터 인상되는 담뱃값도 부담이 됐고 무엇보다 새해를 맞이해 건강을 관리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금연을 시작한 첫날부터 변비 증상이 시작돼 용변 보기가 힘들었으며, 속도 더부룩하고 생활이 불편하게 되어 평소 대변을 볼 때 흡연하던 것이 습관이 돼어 용변을 볼 때만이라도 담배를 다시 피워볼까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금단증세 48시간 안에 최고조, 1~2주 지나면 완화 새해가 되어 금연을 결심하는 이들이 늘고 있습니다. 담뱃값 인상과 금연구역 확대로 인해 흡연자들의 설 자리가 좁아졌기 때문입니다. 담배를 끊게 되면 다양한 금단 증세가 나타나게 됩니다.. 더보기
한번에 모아보는 치매의 적, 단월드 기체조 2014년 기준 65세 인구 10명 중 1명이 치매 환자인 상황에서 치매는 더 이상 남의 이야기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치매는 원인에 따라 알츠하이머성 치매, 혈관성 치매, 파킨슨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등으로 나뉜다. 알츠하이머성 치매는 전체 치매의 50~70%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유형으로 기억, 언어, 동작 같은 정신적 능력을 관장하는 대뇌피질이 얇아지고 해마가 쪼그라들어 발생하게 됩니다. 치매환자의 20~30%를 차지하는 뇌혈관성 치매는 고혈압이나 당뇨병, 술, 담배와 같이 뇌혈관에 해로운 환경으로부터 발생하게 됩니다. 문제는 60대 후반이나 70대에 들어 치매가 발생했다고 해도 치매의 싹은 이미 40~50대에 시작된다는 사실입니다. 치매는 20여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며 처음 15년은 체감증.. 더보기
30주년을 맞이하는 국민 건강법 '단월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명상교육기업인 (주)단월드 (대표이사 왕성도 www.dahnworld.com)가 2015년,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기업 창립이념이 개인의 건강과 더불어 사회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있는 단월드는 올해, 그간 회원들에게 받았던 사랑을 되돌려주는 데 그 의의를 두고 다양한 공익활동을 전개할 계획에 있습니다. 단월드는 지난 30년간 국민건강보급 및 가족인성 등 다양한 공익활동을 후원해 왔는데 그 주역은 바로 단월드 회원분들이었습니다. 단월드 회원들은 처음에는 건강의 문제로 단월드에서 수련을 시작했지만, 몸과 마음의 건강을 회복하면서 자신의 가정, 직장, 지역사회에 단월드 수련법을 전하면서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앞장서왔습니다. 실제로 많은 국민이 알고 있는 ‘발끝치기’, ‘.. 더보기
2014년 새해와 2015년 새해를 다르게 만드는 <헬스의 정석> 2014년도의 자신은 어땠습니까?ㅎ '부어라 마셔라' 그 차진 가락 속에서 너나없이 흥을 주체하지 못하고 들이켰던 술잔도, 그 옆에서 장단을 맞추며 쉼 없이 입속에 들어갔던 온갖 음식들 가득차있는 2014년이었습니까? 위의 사진처럼 2015년이 시작되지는 않으셨습니까? 이제 2015년(단기 4348년) 새해니까. 매년 빠지지 않고 하는 '몸만들기'에 돌입하는 연례행사의 시기이기가 시작되었기 때문에 어느 헬스장을 가든 위 사진과 같이 시작되었을 것입니다^^ 매년 연례행사로 '몸만들기'를 하고 있다고 하여 한심스럽게만 보지는 마시구 '마른 비만'과 '의지박약'을 헤쳐나갈 비장의 무기인 바로 《헬스의 정석》(저자 수피, 한문화)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합니다. 매년 하고 또 실패하고 또 하는 그 몸만들기 그만할 .. 더보기